화승소재, 산업은행서 300억원 규모녹색채권(그린본드) 발행 통한 자금 조달 성공- 친환경 소재 TPV 생산라인 증설에 100% 투자 계획- ESG경영 박차, 바이오TPV 등 시장선도적 제품도 앞당겨 출시화승코퍼레이션(대표 허성룡)의 글로벌 첨단 소재 전문 자회사인 화승소재(대표 허성룡)가 산업은행의 ESG 채권 발행 지원 대상기업으로 선정돼 300억원 규모의 녹색채권(그린본드)을 발행하는데 성공했다고 20일 밝혔다.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은 ESG(친환경, 사회적 책임, 지배구조) 채권의 저변 확대를 위해 중소·중견기업들의 ESG채권 발행 지원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으며, 화승소재는 적극적인 ESG경영 의지와 실행능력을 인정받아 이번에 녹색채권 발행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화승소재는 이번 녹색채권 발행을 위해 나이스신용평가로부터 지난달 녹색채권 인증 평가를 받아 ‘부합’(PASS) 의견을 취득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화승소재의 TPV(Thermoplastic Vulcanizate, 열가소성 가교 엘라스토머) 생산라인이 생태 효율성 및 순환경제를 고려한 제품 생산기술 및 공정으로서 국제자본시장협회의 녹색채권 원칙과 UN의 지속가능발전 목표, 환경부의 녹색채권 가이드라인에 부합한다고 평가서에 적시했다. TPV는 TPE의 일종으로 친환경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화승소재는 녹색채권 발행에 따른 조달자금의 100%를 TPV(Thermoplastic Vulcanizate) 생산라인 증설에 투자할 계획이다. 이 회사는 2017년 부산 기장군 장안읍에 제2 공장인 명례공장을 완공해 현재 4개의 생산라인을 가동하고 있으며, 금번 조달자금을 활용해 당시 시설투자에 사용한 차입금 상환과 함께 내년까지 총 77억원을 추가 투자해 2개의 생산라인을 증설할 예정이다.화승소재는 이번 녹색채권 발행을 계기로 ESG경영에 더욱 박차를 가해 일반 TPV뿐만 아니라 최근 친환경 인증을 취득한 바이오TPV도 앞당겨 생산키로 하는등 친환경 제품 확대에도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화승소재 허성룡 대표는 “이번 녹색채권 발행으로 기존 소재 대비 전력 사용량 감소, 유해물질 및 온실가스 감축, 재활용 생산을 통한 순환경제 기여 등의 환경 개선 효과를 가진 친환경소재 TPE(TPV) 의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됐다”며, “금번 녹색채권 발행을 계기로 모기업인 화승코퍼레이션과 함께 화승그룹 화학소재 계열의 ESG 경영을 확산하는데 있어 화승소재가 선도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끝>### 화승코퍼레이션 및 화승소재 소개 ###화승코퍼레이션은 글로벌 화승의 미래 사업을 담당하는 회사로, 자동차부품·종합무역·고무소재 사업의 화승 계열사를 연결하는 GHQ(Global Headquarters)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토목, 항만, 건설 분야의 산업용 고무제품도 취급하며, 최근 친환경차와 신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다.화승코퍼레이션의 자회사인 화승소재는 1996년 설립된 글로벌 화학소재 기업이다. 주요 제품군은 CMB(Carbon Master Batch), TPE(Thermo Plastic Elastomer,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방산 사업제품, 해양사업 기자재 등이다. 지속적인 기술투자와 경영혁신의 결과 1500여 종의 컴파운드(compound, 화합물)를 개발, 보유함으로써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특히 저탄소 제조 기술, 순환경제를 고려한 TPE제품군의 연구개발 및 생산을 통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실현하고 있다.